본문 바로가기

분야별 치료/역류성 식도염 치료

식도암?! 역류성식도염 합병증,위액역류 치료

 

 

 

식도암?! 역류성식도염 합병증,위액역류 치료

 

 

 

 

 

연말연시, 많은 사람들은 지난 한해를 보낸 이야기를 나누고, 앞으로 다가올 새해에는 무엇을 해야겠다라는 다짐을 하는 모임을 갖곤 합니다.

 

다른 시기보다 유독 잦은 회식, 술자리 등이 많아지게되면서 몸에 이상한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 중 가슴이 화끈거린다거나 불쾌한 통증, 목과 가슴 사이 무언가 걸려있는 듯한 답답함 등의 증상을 느끼신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역류성식도염은 위액역류, 가슴 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에 이물감, 목쓰림, 목소리 변화, 가슴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곤 합니다.

 

역류성식도염이라는 증상은 과거 어린시절에는 상당히 낯설은 단어였지만, 최근들어서 역류성식도염 증상을 느끼는 분들이 점차적으로 많아지게 되면서, 인터넷에서도 상당히 많은 글들을 볼 수가 있을 정도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이라는 것을 잘 모를 경우에는 단순한 소화불량이라고 판단하고 소화제만을 찾게 되는데, 소화불량과 다르게 가슴이 화끈거리거나 음식물을 삼키기가 어려울 정도라면 역류성식도염을 의심해보아야 됩니다.

 

 

 

 

 

 

역류성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료 역류하여 불편한 증상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위와 식도 사이 하부식도괄약근에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괄약근은 특정 기관 개폐에 관께하는 밸브같은 역할을 하는 근육인데, 이 근육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특정 장기에 보관된 물질이 역류를 한다거나, 다른 곳으로 새어나오게 됩니다.

 

식도 괄약근은 원래 닫혀져있다가, 음식을 먹을 때나 트림을 할 경우에만 열리는게 정상인데, 이 근육의 힘이 약해지게되면, 위 안에 들어있어야 할 내용물들이 식도로 역류를 하게 되면서, 역류한 위산이 식도 점막을 계속 자극 및 손상시키게 됩니다.

 

이러한 역류 증상이 지속된다면, 역류성식도염뿐만이 아닌 여러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위에 있어야 될 위산이 위쪽 방향으로 올라오게되면, 강한 산성을 띄는 위산으로 인하여 식도 점막에 염증을 동반한 궤양 등이 발생할 수가 있고, 위산이 식도를 지나서 기도까지 가게되면 만성 기침 또는 목이 쉴 수가 있으며, 후두염, 천식 등이 유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식도가 영구적으로 좁아지게 되어버리거나, 조직이 변하여 바렛식도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바랫식도는 손상되어진 식도에서 장의 상피세포가 자라나 식도가 딱딱하게 굳어져버려서 음식을 넘기기가 힘들어지는 것입니다.

 

이는 식도암으로 유발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주의를 하셔야 됩니다.

 

 

 

 

 

역류성식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선 식습관과 생활습관 조절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동물성지방이 많은 기름지면서 자극적인 음식, 흡연 등은 식도 사이 괄약근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피해야 됩니다.

 

커피, 탄산음료, 과일주스, 와인 등과 같은 산도가 높은 음료는 위산 분비를 촉진시키고, 위에 머물게 되는 시간이 길어서 역류 기회를 제공하기에 줄이는게 좋습니다.

 

과식을 하게되면 위 속 내용물 양이 늘어나게 되어서 위산분비 증가 및 음식물이 위에서 장으로 배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서 식도로 역류되기가 쉬운 상황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음식을 먹은 다음 바로 눕는다거나, 구부린 자세를 취하게되면 위 안의 내용물들이 위식도 연결부위에 위치를 하기 때문에 이 역시도 좋지 않습니다.

 

복부비만이라고 한다면, 복부지방이 배의 압력을 높여서 위 안의 내용물들을 역류시킬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체중을 조절하시고, 타이트한 옷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무엇보다도 연말연시에 자주 마시게되는 술은 되도록 안마시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현재 역류성식도염 증상이 나타나서 의심이 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 치료를 진행하는 것은 우리의 건강을 오랫동안 지킬 수 있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라겠습니다.